이명박 정부 시절 '자원 외교'에 적극 참여했던 한국가스공사가 극심한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당시 시작한 해외 사업들 정리에 나섰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까지 1조 6천억 원을 투자했는데, YTN 취재 결과 전부 가스공사 예상대로 매각해도 6백여억 원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손해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이어질 거란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조성호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스공사는 지난 2010년 2월 캐나다 혼리버 가스전 사업 지분 50%를 인수합니다. <br /> <br />자원 자급을 높이려는 이명박 정부 '자원 외교' 일부로 추진됐지만, 금세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돈으로 9천억 원 넘는 비용이 투입됐지만, 사업성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셰일가스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가스값이 급전직하한 영향도 컸습니다. <br /> <br />[전정희 /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(2015년 3월) : (캐나다) 혼리버 같은 경우에는 2017년까지 더 이상 투자를 중지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에 도달해있습니다.] <br /> <br />YTN이 입수한 가스공사의 '5개년 재정건전화계획'을 보면, 2021년 부채 비율은 379%, 올해는 더 악화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혼리버 가스전을 비롯해 전략적 가치가 낮거나 핵심이 아닌 사업 5건을 시장에 새로 내놓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6천억 원을 들인 이라크 아카스 사업 등 지난해부터 매각을 추진한 사업까지 모두 8건이 대상인데, 이 가운데 자원외교로 추진된 사업은 4건, 이들 사업에 지금까지 들어간 돈을 합치면 1조 6천억 원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가스공사가 국회에 보고한 예상 매각대금은 이라크 아카스 사업이 709억 원, 캐나다 혼리버는 120억 원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, 310억 원을 투입했다가 배관설치가 무산되면서 중단된 캐나다 북극권의 우미악 광구는 106억 원 손실을 더 떠안은 채 넘겨줘야 합니다. <br /> <br />4개 사업 모두 원하는 대로 매각하면 투자비용의 4%에도 못 미치는 614억 원만 손에 쥐고 나머지는 고스란히 손해로 남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르면 내년 말, 늦어도 내후년 말까지는 전부 정리하는 게 가스공사 목표지만, 구체적으로 매매 계약이 추진되고 있는 건 2건뿐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가스공사는 YTN에 이미 투자해 회수하지 못한 비용은 꾸준히 손상처리 해왔기 때문에 현재 공사 재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2건을 제외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성호 (cho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93022043436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